영상

영상 게시판 내용 보기

2025 울주군정브리핑(1월 셋째주)

  • 작성자 : [홍보미디어과] 박은진 (052-204-0222)
  • 등록일 : 2025-01-21
  • 조회 : 86

동영상 자막 ANC>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지난 한주간 울주군에서 있었던 소식을 모아 전해드리는,
울주군 소식입니다.

먼저 첫번째 소식입니다.



[울주군1] 울주군, AI스피커로 독거어르신 고독사 예방 나서

울주군이 지난14일 울산시복지가족진흥사회서비스원과 독거어르신 고독사
예방을 위한 '1인 가구 AI스피커 스마트케어 사업'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AI스피커는 사용자와 대화를 통해 정서 돌봄과 맞춤형 생활정보를 제공하고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긴급 구조를 지원하는 기능을 갖췄습니다.
울주군은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 내 60세 이상 독거어르신 가정 100곳에
인공지능을 갖춘 스피커를 설치한 뒤 ICT케어센터에서 365일 24시간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울주군2] 고향사랑기부금 울산 첫 2천만 원 기부자 나와

고향사랑기부금 상한액이 기존 500만 원에서 올해부터 2천만 원으로
상향된 이후 울산에서 첫 2천만 원 기부자가 나왔습니다.
주식회사 에이치엔티 고기한 대표는 지난 13일 올해 울주군 고향사랑기부
고액기부자 1호로 울주군에 고향사랑기부금 2천만 원을 전달했습니다.
고 대표는 고향사랑기부제 정착과 지역 발전을 위해 지난해부터 울주군에
고향사랑기부 개인 연간 상한액을 기탁해 오고 있습니다.

[울주군3] '취약계층 지원' 울주군 두동면 공공 빨래방 개소

울주군 두동면에 지역 취약계층의 이불 세탁을 무료로 지원하는
공공 빨래방이 새롭게 문을 열었습니다.
울주군 두동면 구미리에 들어선 공공 빨래방은
두동면 이장협의회가 수자원공사의 주민지원사업을 통해
5천만 원을 지원받아 조성됐습니다.
공공 빨래방은 두동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두동면 여성자원봉사회가
지역 내 15개 마을 취약계층 세대를 매주 방문해 이불을 수거한 뒤
세탁과 건조를 거쳐 다시 가정으로 배달하는 형식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울주군4] 울산옹기축제, 2년 연속 대한민국 축제콘텐츠 대상

울산의 대표 축제인 '울산옹기축제'가 2년 연속 글로벌 명품 부문
대한민국 축제콘텐츠 대상에 올랐습니다.
울주문화재단은 울산 유일의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문화관광축제인
울산옹기축제가 올해 제13회 대한민국 축제콘텐츠 글로벌 명품 부문 대상을
수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시상식은 다음 달 25일 서울 용산 로얄파크 컨벤션에서 열립니다.

[울주군5] "드론 1,500대 뜬다"..25일 '2025 간절곶이 뜬다' 행사

울산 울주문화재단과 서생면주민협의회가
설 연휴 첫날인 오는 25일, '2025 간절곶이 뜬다' 행사를 마련합니다.
이번 행사는 최근 국내외 크고 작은 사고로 침체된
사회 분위기에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기 위한 것으로
인기가수들의 축하공연은 물론 천500대의 드론 비행과
희망 불꽃 퍼포먼스 등이 진행됩니다.
행사는 누구나 현장에서 관람할 수 있습니다.


-----------------------------------------------

---(단신) 울주군, '작은도서관 순회사서 지원사업' 2년 연속 선정
울주군이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는 '작은도서관 순회사서 지원사업' 공모에
2년 연속으로 선정됐습니다. 이 사업은 사서자격증을 가진 전문인력을 파견해
도서관 운영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울주군은 이번 공모 선정으로 3천100만 원의 국비 예산을 확보했습니다.

---(단신) 울주군, 전국 최초 원전 방재 동화책 제작·보급
울주군이 전국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원전 방재 동화책을 제작해
지난 10일 울산시교육청에 전달했습니다. 동화책은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이 방사능 재난 시 행동요령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됐습니다.

---(단신) 울주군, 올해 어르신 효도이용권 지원금 2배 인상
울주군이 올해부터 65세 이상 지역 어르신에게 제공하는 효도이용권 지원금을
2배로 인상합니다. 효도이용권은 어르신의 목욕과 이·미용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기존 분기 당 만 5천 원에서 올해부터 3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첨부 파일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금지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