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동면

사람이 희망인 울주

전체메뉴보기

읍면 소개

삼동면 연혁

  • 본문 인쇄
  • sns 공유 리스트 열기

우리지역은 신라시대 거지화현(居知火縣)의 헌양(獻陽)으로 개칭하고 우리지역은 신라시대 거지화현(居知火縣)의 헌양(獻陽)으로 개칭하고 양주령헌(良州領縣) 에 속하고 고려 현종때는 울주(蔚州)에 고려 인종때는 언양(彦陽)에 조선초기에는 경주도 (慶州道)의 언양현(彦陽縣)에 속하였음. (端宗 2년 1454년 世宗實錄地理志)

삼한시대 ~
조선시대

  • 조선초기

    의 언양현(彦陽縣) 대토리(大吐里)는 삼동의 전지역을 말함. (端宗 2년 1454년 世宗實錄地理志, 睿宗 원년 1469년 慶尙道續撰地理志)

  • 1711년 조선19대

    肅宗 37년에는 조일리(早日里), 왕방리(旺方里), 송면리 (松面里), 작동리 (鵲洞里), 구수리(九藪里) 등 5개리가 포함되어 남면(南面)에 속하였음. (* 1711년 辛卯式 彦陽縣 戶籍大帳 = 面名 未確認 九藪里 資料無, 남면 (南面)이라 하면 鳴村 里, 吉川里, 德泉里, 雙水亭里, 加乙川里 등과 三同의 5개리를 統括하는 面임. * 水原白氏 대동보 丙申보(영조 52년 1776년) = 1630년대 후반에 彦陽縣의 南面에 早日洞, 松面洞, 香林洞이 존치)

  • 景宗(1721-1724) 당시 三洞面이라 칭하였다 하나 21대 영조때(1725년 이후) 다시 三同面이라 칭하였음. (英祖前期 戶口總數 英祖44년 1768년"戊子式 金潤澤 戶籍單子". 英祖47년 1771년"辛卯式 金鳴秋戶籍單子")

  • 1774년

    조선 21대 英祖 50년 삼동면(三同面)을 하남면(下南面)이라 개칭하고 조일리(早日里), 왕방리(旺方里), 송면리 (松面里), 작동리(鵲洞里), 구수리(九藪里) 등 5개리가 존치 하였음. (英祖 50년 1774년 "辛卯式 金鳴秋 戶籍單子" 正祖 원년 1777년 "辛卯式 金鳴秋 戶籍單子" 正祖원년 1777 "辛卯式 金大成 戶籍單子")

  • 1786년

    조선 22대 正祖 10년 하남면(下南面) 조일리(早日里)에서 보은리(寶隱里)가 분리 되어 존치 하였음. (정조 10년 1786년 "丙午式 禹鼎有 戶籍單子")

  • 1789년

    조선 22대 正祖 13년 하남면(下南面)은 삼동면(三同面)으로 복칭하고 보은리(寶隱 里)는 조일리(早日里)에 합하고 송면리(松面里)는 하잠리(荷岑里)와 신광리(新光里)로 분리 되어, 조일리(早日里), 왕방리(旺方里), 하잠리 (荷岑里), 신광리(新光里), 작동리(鵲洞里), 구 수리(九藪里) 등 6 개리를 관할 하였음. (1789년 戶口總數 = 松面里를 폐지하여 荷岑里와 新光里를 구분 신설. 正祖 13년 "乙酉式 禹鼎有 戶口帳 帳" 三同面 早日里라 기록. 正祖13년 "乙酉式 金應聲 戶口帳" 三同面 早日里라 기록. 당시 彦陽縣은 川北에 上北面, 中北面, 下北面,과 川南에 上南面, 中南面, 三同面 으로 6개면으로 構成됨이 確認)

  • 1813년

    조선 23대 순조 13년 당시 삼동면(三同面)은 조일리(早日里), 왕방리(旺方里), 하 잠리(荷岑里), 작동리(鵲洞里), 구수리(九秀里) 등 5개리를 관할 하였음. (1813년 癸酉式 彦陽縣 戶籍大帳 = 九藪里를 九秀里로 변경)

  • 1832년

    조선 23대 순조 32년 당시 삼동면(三同面)은 조일리(早日里), 보은리(寶隱里), 송정리(松亭里), 금곡리(金谷里), 신기리(新基里), 하잠리(荷岑里), 작동리(鵲洞里), 구수리(九秀 里) 등 8 개리를 관할 하였음. (慶尙道 邑誌 彦陽縣 = 旺方里가 폐지되고 寶隱里, 松亭里, 金谷里, 新基里가 신설)

  • 1858년

    조선 25대 철종 9년 당시 삼동면(三同面)은 조일리(早日里), 보은리(寶隱里), 송정리(松亭里), 금곡리(金谷里), 사촌리(沙村里), 하잠리(荷岑里), 작동리(鵲洞里), 구수리(九秀 里) 등 8개리를 관할 하였음. (1858년 戊午式 彦陽縣 戶籍大帳 = 新基里를 폐지하고 沙村里를 설치)

  • 1861년

    조선 25대 철종 12년 당시 삼동면(三同面)은 조일리(早日里), 보은리(寶隱里), 송정리(松亭里), 금곡리(金谷里), 사촌리(沙村里), 하잠리(荷岑里), 작동리(鵲洞里), 구수리(九藪 里) 등 8개리를 관할 하였음. (1861년 辛酉式 彦陽縣 戶籍大帳 = 九秀里를 九藪里로 변경)

  • 1871년

    고종 8년 삼동면(三同面)은 조일리(早日里), 대계리(大溪里), 보은리(寶隱里), 왕방리(旺方里), 하잠리(荷岑里), 신광리(新光里), 작동리(鵲洞里), 구수리(九藪里) 등의 8개리를 관할하였음. (1871년 嶺南邑誌 彦陽縣 = 松亭里, 金谷里, 沙村里를 폐지. 大溪里, 旺方里, 新光里 신설)

  • 1894년

    고종 31년 삼동면(三同面)은 조일리(早日里), 보은리(寶隱里), 사촌리(沙村里), 하잠리(荷岑里), 작동리(鵲洞里), 구수리(九秀里) 등의 6개리를 관할 하였음. (고종 31-36년 彦陽邑誌 = 大溪里, 旺方里, 新光里를 폐지 사촌리를 부활하고 九藪里를 九秀里로 변경. "甲午式 禹鋌東 戶籍單子" 高宗 31년 三同面 早日里라 기록)

  • 1896년

    고종 33년(건양 원년) 8월 4일 경상도를 남도와 북도를 분할 함에 삼동면(三同面) 은 경상남도에 속하고 조일리(早日里), 보은리(寶隱里), 사촌리(沙村里), 하잠리(荷岑里), 작 동리(鵲洞里), 구수리(九秀里) 등의 6개리를 관할 하였음. (1910년 總督府 地方行政區域 改編) * 당시 언양군 : 상북면, 중북면, 하북면, 상남면, 중남면, 삼동면의 6개면 * 당시 울산군 : 상부면, 하부면, 농동면, 농서면, 내상면, 내현면, 외현면, 청량면, 온남면, 온북면, 범서면, 웅상면, 웅하면, 강동면, 서생면, 동면의 16개면 * 1910 이전 중남면은 교동(校洞), 수남(水南), 평리(平里), 가천(加川), 장제(長提), 상천(象川), 상방기(上芳 基), 하방기(下芳基), 신화(新華) 등 9개리 관할

1900년대 ~ 현재

  • 현대
    1911년
    삼동면(三同面)은 조일리(早日里), 보은리(寶隱里), 송정리(松亭里), 금곡리(金谷里) 사촌리(沙村里), 하잠리 (荷岑里), 작동리(鵲洞里), 구수리(九秀里) 등 8개리 관할 하였음. (總督府 發行 地方行政區域一覽 = 松亭里, 金谷里 신설)
    1914. 3. 1.
    언양군이 폐지되어 울산군에 합군되어 삼동면은 울산군에 속하였음.
    1914. 4. 1.
    원작동(元鵲洞)에 청량면의 서부지역 일부인 관음동(觀音洞)과 웅촌면 대양리 의 작치(鵲峙), 관산(冠山)을 편입하여 둔기리(芚基里)라 칭하고 출강리(出崗里)는 하잠리 일부를 합하고 하잠리(荷岑里)는 왕방리, 사촌리를 합하고 보은리(寶隱里)는 조일리 일부 와 송정리를 합하고 구수리(九秀里)는 작동 일부를 합하여 작동리(鵲洞里), 금곡리(金谷里), 조일리(早日里) 등 8개리로 개편되어 면소재지는 보은리에 둠.
    1933. 1. 1.
    삼동면과 중남면이 합쳐 삼동면(三同面)의 삼(三)자와 중남면(中南面)의 남 (南)자를 따서 삼남면(三南面)이라 개칭하고 13리를 관할 하고 면사무소는 상천리 164번지 에 둠.
    1949. 6. 20.
    공산분자에 의해 면사무소 방화로 소실되어 이듬해 신화리 산 81번지(현 위 치)에 신축 이전.
    1962. 6. 1.
    울산군이 울산시와 울주군으로 분리되어 울주군에 속함.
    1963. 3. 1.
    옛 삼동면 지역 8개리를 관할하는 삼동출장소를 설치하여 초대 출장소장에 신정렬(辛正烈)이 취임하고(63.3.1~66.9.30.)출장소 소재지를 하잠리 880(현 위치)번지에 둠.
    1973. 7. 1.
    삼남면 구수리(九秀里)가 언양면에 편입되어 삼동출장소는 7개 리를 관할.
    1989. 4. 1.
    삼동출장소가 면으로 승격되어 옛 삼동면(三同面)의 명칭을 복칭하게 되었으며 초대 면장에 선병윤(宣炳潤) 취임.
    1995. 1. 1.
    울산시와 울주군이 도시 농촌 복합형태의 시로 통합하고 울주군지역은 울주구로 신설되어 울산시 울주구 관할에 속하였음.
    1997. 7. 15.
    울산광역시가 설치되고 종전 울주구가 울주군으로 복군되어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여 지금에 이름.
페이지 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