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 사업기간 : 연중(2025. 1. ~ 12.)
- 사업대상 : 울주군민(사업별 중위소득 150~180%이하, 일부사업 제한없음)
- 사업내용 : 영유아발달지원서비스 등 15개 바우처 사업
- 서비스제공기관현황 : 울산광역시지역사회서비스지원단(www.ussag.or.kr바로가기)
- 신청기간 : 2025. 2. 3(월) ~ 2025. 2. 7.(금)
※ 단, 아동·청소년 심리지원서비스, 성인심리지원서비스, 생활영농기술지원서비스, 장애인보조기기렌탈서비스, 가사지원서비스는 수시 신청 가능 - 신청장소 : 주소지 읍·면 행정복지센터 방문
- 구비서류 : 신분증, 사업별 해당서류, 필요시 건강보험자격확인서
※ 신청서는 행정복지센터에 비치
※ 단, 소득 관련 이의제기 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등 추가서류 필요 - 문 의 처 : 복지정책과 희망복지팀 ☎204-0845
※ 15개 바우처 사업 종류 및 서비스 가격
사업명 | 서비스 대상 | 소득 기준 | 사업내용 | 서비스 가격(천원) | |||
---|---|---|---|---|---|---|---|
서비스 내용 | 서비스 기간(월) | 합계 | 정부지원금 | 본인부담금 | |||
영유아발달 지원서비스 |
만6세 이하 | 160% 이하 | 영유아 발달지연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 12 | 160 | 월144~96 | 월16~64 |
아동·청소년 심리지원 서비스 |
만18세 이하 | 180% 이하 | 심리·행동 문제의 조기 발견 개입을 통한 치료서비스 제공 | 12 | 200 | 월180~90 | 월20~110 |
아동비전형성 지원서비스 |
만7세~만15세 | 150%이하 | 자기주도력 향상 프로그램 제공으로 책임감 있는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지원 | 12 | 140 | 월126~84 | 월14~56 |
아동체험활동 지원서비스 |
만7세~만12세 | 150%이하 | 아동을 대상으로 현장체험학습을 통한 라이프코칭 | 12 | 200 | 월180~120 | 월20~80 |
실버맞춤문화 활동서비스 |
만60세 이상 | 150%이하 | 생활 및 문화예술 여가지원으로 건강한 노년생활의 영위 지원 | 12 | 100 | 월90~60 | 월10~40 |
어르신생기발랄 서비스 |
만65세 이상 | 150%이하 | 노년의 각종 심리문제에 대한 전문적 상담으로 생활건강증진 | 10 | 160 | 월144~96 | 월13~64 |
사랑나눔 안마서비스 |
연령제한 없음 | 150%이하 | 임산부, 장애 및 질환의 증상 개선 건강증진, 중증시각장애인 일자리창출 | 12 | 168 | 월151~101 | 월17~67 |
장애인보조기기 렌탈서비스 | 만24세 이하 장애아동ㆍ청소년 | 제한없음 | 장애유형에 따라 맞춤 재활보조기구 대여서비스 | 12 | 720 | 반기648~504 | 반기72~216 |
건강증진맞춤 운동지도서비스 |
만7세 이상 | 150%이하 | 건강취약계층의 건강상태 상담·점검 통한 맞춤형 신체활동 지원 | 10 | 180* *장애인, 임부, 산모 등 |
월162~126 | 월18~54 |
140* *65세 이상 노인 등 |
월126~98 | 월14~42 | |||||
직업능력 발달서비스 |
만14세~만64세 이하 | 150%이하 | 장애인, 경력단절 여성, 청소년 등 일반인들의 직업생활준비 및 직업 적응능력강화 | 12 | 200 | 월180~120 | 월20~80 |
가족이음 서비스 |
부모, 조부모, 예비부모 | 160%이하 | 전문심리상담과 교육을 통한 가족 정서 회복과 유대감 향상으로 가족 기능강화 | 6 | 200 | 월180~120 | 월20~80 |
임산부 생활건강 지원서비스 |
임신 12주 이상 또는 출산 후 3년 미만 산모 | 160%이하 | 산전, 산후 우울증예방 및 출산장려 | 6 | 160 | 월144~96 | 월16~64 |
생활영농기술 지원서비스 |
만40세~만70세 | 제한없음 | 베이비붐세대 은퇴지원 설계, 도심속 전원생활, 정서안정 귀농귀촌 지원 | 3 | 180 | 월162~108 | 월18~72 |
성인심리지원 서비스 |
만19세 이상 | 160%이하 |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성인들의 삶의 질 향상 | 6 | 200 | 월180~120 | 월20~80 |
가사지원서비스 | 맞벌이 가구, 한부모 가정 | 제한없음 | 맞벌이 및 한부모 가구 등의 가사부담 완화 통한 일, 가정 양립 지원 | 12 | 220 | 월198~88 | 월22~132 |
- 페이지 담당자 :
-
- 복지정책과 052-204-0844
- 최종 수정일 :
- 2025-01-17